미분으로 달리고, 적분으로 늙어간다 – 마라톤에 대한 시스템사고

미분으로 살고 적분으로 드러난다 — 마라톤과 시스템사고의 만남 우리는 삶에서 '흐름(flow)'으로 살고, '저량(stock)'으로 평가받습니다. 하루하루 살아가는 방식은 미분의 순간들—즉 작은 행동의 연속이지만, 세상에 보이는 나는 그 행동들이 쌓인 총합(적분)으로 드러납니다. 바로 적분의 결과인 나, 내 건강, 내 평판, 내 관계, 내 삶이죠. 행동은 흐름, 판단은 저량 시스템사고에서는 흐름(flow)은 시간에 따른 변화량을 의미하고, 저량(貯量, stock)은 그 변화가 누적(적분)된 상태를 뜻합니다. 우리는 체중계에 올라 체중(저량)을 보고 건강 상태를 판단하지만, 그 체중을 만든 것은 매일의 식습관과 운동량이라는 흐름입니다. 하지만 여기에는 하나의 함정이 있습니다. 저량은 흐름의 변화에 곧바로 반응하지 않습니다. 저량은 흐름이 있어야 변합니다. 하지만, 우리가 어떤 행동을 시작해도 결과는 당장 나타나지 않죠. 지연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런 지연되어 나타나는 결과마저도 변화량에 정비례하지도 않고, 때로는 역설적이기도 합니다. 바로 이것이 비선형적 지연 이며, 시스템사고가 세상의 복잡성을 해석하는 데 중요한 이유입니다. 마라톤에서 경험하는 시스템사고 마라톤을 달리면서 저는 똑같은 경험을 합니다. 20km, 25km, 30km를 넘어가며 ‘그동안의 훈련량’과 '지금까지 달려 온 운동량'의 누적(적분)값이 드러나기 시작합니다. 달릴 때마다 심박수라는 흐름이 바뀌고, 그 흐름이 누적되며 몸의 상태라는 저량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줍니다. 그런데 흥미로운 점은, 이 저량의 변화가 느리게 드러나기 때문에, 몸이 보내는 경고를 늦게 알아차린다는 점입니다. 저는 한때 “쉬지 않고 달리는 것” 을 훈장처럼 여겼습니다. 그래서 달리면서 목격되는 '지쳐 걸어가는 사람들'을 보며 내심 뿌듯했습니다. 마치 인과순환지도에서 ‘쉬지 않고 달리는 노력’ → ‘자기 효능감’ → ‘성취’ → ‘쉬지 않고 달리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