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x 2.1 에서, Joe는 한 가지 고민을 털어놓습니다. “벤자민 박사님, 제가 요즘 공부하는 모델링 과제들은 죄다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 방식이잖아요. 제 룸메이트는 프로그래머가 하루에 수십 줄의 코드를 쓴다는데, 난 왜 코드를 안 쓰고 있지? 이렇게 해서 과연 실력이 늘까요?” 이는 실제로 시스템다이내믹스(SD) 수업을 들은 학생들이 자주 하는 질문이기도 합니다. 프로그래밍 언어(예: Fortran, C, Python 등)로 직접 시뮬레이션 코드를 짜 본 적이 있거나, “프로그래머는 매일 코드를 써야 한다”는 인식을 가진 분들이라면 “SD 모델링은 왜 코드가 없지?” 하고 의아해할 수 있죠. “SD 모델링은 ‘코드’보다 ‘구조’가 핵심” Andy가 책에서 말하듯, 시스템다이내믹스의 핵심 활동은 “피드백 구조를 파악하고, 모델의 기본 가정을 명확히 한 뒤, 이를 소프트웨어(예: Stella, Vensim)로 구현” 하는 것입니다. 소프트웨어 가 제공하는 저량-유량 지도(Stock & Flow Diagram) 와 인과순환지도(Causal Loop Diagram) 등 시각적 도구를 통해, 코드를 직접 타이핑 하지 않고도 모델(방정식)을 생성 할 수 있습니다. Joe 같은 학생 입장에서는, “정말 이렇게 마우스 클릭만으로도 모델이 만들어지는 게 가능한가?” 하고 당황할 수 있죠. 그러나 Box 2.1 에서 Andy가 강조하는 것은, “시스템다이내믹스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배우는 수업이 아니다.” “실무에서 가장 중요한 일은 컴퓨터 앞이 아니라, 사람들과 문제의 본질을 논의하는 과정이다.” 다시 말해, SD 모델링 에서 ‘코드 작성’은 핵심이 아니라, 필요하다면 방정식을 직접 살펴볼 수는 있지만 , 대체로 소프트웨어가 코드 생성 과 수치 해석 을 도맡아 해 주기 때문에, 우리는 "모델 구조와 가정” 에 더 많은 시간을 쏟게 된다는 겁니다. 그래도 “코드”는 존재한다 재미있는 건, Andy가 “코드가 아예 없는 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