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drew Ford 헌정 강의: 『Modeling the Environment』 Chapter 3 - 연습 문제 5 “Biflow? 양방향 흐름에 대한 방정식을 세워 보자”
문제 요약
Exercise 3.5에서는 그림 3.12의 “biflow(양방향 유량)”를 다룹니다.
- 양방향(flow with two arrowheads)이란, 유량이 “플러스 방향(증가)”일 수도, “마이너스 방향(감소)”일 수도 있음을 나타내죠.
- 흰색(비음영) 화살표: 성장(growth)이 양수일 때, 인구(population)가 증가
- 검은색 화살표: 성장(growth)이 음수일 때, 인구(population)가 감소
문제의 요구사항은: “Growth(성장) 유량에 대한 방정식을 작성하라.”
즉,
1. 직관적 이해
일반적으로 인구가 증가하는 이유는 출생률(birth rate) 때문이고, 인구가 감소하는 이유는 사망률(death rate) 때문입니다.
- “유량”이라는 관점에서 성장(growth)은
-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birth rate와 death rate가 각각 인구 규모에 곱해진 결과로 해석됩니다.
만약 인구가
- 출생(births) =
- 사망(deaths) =
따라서 net growth(순증가)는
2. 방정식 형태
간단히 묶어 쓰면:
(birth rate−death rate)×population.
이 식은 “”가 양수이면 유량이 양 방향, 음수이면 유량이 음 방향이 됨을 의미합니다.
- 그 결과, 실제 계산된 가 양수면 실제 저량(인구)이 증가하고, 음수면 감소하게 되죠.
3. 각 변수의 단위
- population(저량): (예: 만 명, 혹은 “million persons”)
- birth rate: death rate:
- (시간 단위 [T]는 연(year), 달(month), 등 모델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 growth(유량):
방정식 에서,
- 의 단위 =
- 의 단위 =
- 따라서 의 단위 =
4. 결론
문제에서 요구하는 식은:
이 식으로 인해, growth 값이 양수면 인구가 늘어나고, 음수면 인구가 줄어드는 “biflow”가 구현됩니다.
즉, birth rate와 death rate 차이에 따라 인구가 증가·감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죠.
이것이 Exercise 3.5가 말하는 “biflow” 방정식의 핵심입니다!
요약
- 이중 화살표(biflow)는 “증가도, 감소도 가능한 유량”을 의미한다.
- 인구 모델에서, growth = ( − ) ×
- 양수가 되면 인구가 증가(흰 화살표 방향), 음수가 되면 인구가 감소(검은 화살표 방향).
- 단위:
- :
- :
- , :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