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생도 이해할 수 있지만 세상에서 제일 어려운 개념 + -
이번에는 저를 괴롭히는, 세상에게 가장 어려운 개념인 +, -에 대해 말해 보겠습니다. 반전의 반전이 있으니 긴장하고 이야기를 따라 오십시오. 평소 저는 시스템사고 강의할 때 원인과 결과의 관계가 같은 방향이면 + 기호를 사용하고 Positive 인과관계라고 하고, 반대 방향이면 - 기호를 사용하고 Negative 인과관계라고 설명합니다. 이때 Positive, Negative는 수학 개념일 뿐, 좋고 나쁘다는 의미가 아니라는 것을 단단히 일러 줍니다. (초등학생 수준) 예를 들어 출생자가 많아지면 총 인구가 많아집니다. 그러면 출생자의 변화와 총 인구의 변화가 같은 방향이기 때문에 출생자 -> 총인구(+)라고 표기합니다. 반면, 사망자가 많아지면 총인구가 감소합니다. 그러면 사망자의 변화와 총 인구의 변화가 반대 방향이기 때문에 사망자 -> 총인구(-)라고 표기합니다. 여기까지는 초등학교 수준의 설명입니다. 이제 고등학교 수준으로 넘어가면 같은 방향, 반대 방향의 의미가 더 깊어집니다. (수준 높은 설명) 요즘 같이 출생자가 줄어드는 상황과 의료기술이 좋아서 사망자가 줄어드는 상황을 생각해 봅니다. 출생자가 줄어들면 총인구는 어떻게 될까요? 총인구가 줄어든다고 생각하신다면 제 덫에 빠진 겁니다. 멀쩡하게 살아 있는 사람을 죽게 만드는 꼴입니다. 사망자가 줄어든다면 총인구는 어떻게 될까요? 총인구가 늘어난다고 생각하신다면 제 덫에 다시 빠진 겁니다. 이미 죽은 사람을 부활시킨다는 이야기가 됩니다. 이 논리의 덫에서 벗어나려면 욕조 모델로 생각해야 합니다. 위 그림에서 보는 것처럼 출생자의 수를 결정하는 1번 수도꼭지를 틀거나(증가) 서서히 잠그더라도(감소) 여전히 욕조로 물은 들어갑니다. 즉, 총인구는 어떤 경우에라도 증가합니다. 증가하는 속도가 달라질 뿐이겠지요. 사망자의 수를 결정하는 2번 수도꼭지를 틀거나(증가) 서서히 잠그더라도(감소) ...